Circle-RoPE: 거대 비전-언어 모델을 위한 혁신적인 위치 인코딩
Chengcheng Wang 등 연구팀이 개발한 Circle-RoPE는 기존 RoPE의 모달 간 위치 편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토큰을 원형 궤적에 매핑하는 새로운 위치 인코딩 기법입니다. PTD 지표를 활용하여 효과를 측정하고, 계층적 RoPE 전략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GitHub에 공개된 코드를 통해 향후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거대 비전-언어 모델의 난제를 극복하다: Circle-RoPE의 등장
최근 급성장하는 거대 언어 모델(LLM) 분야에서, 회전 위치 임베딩(RoPE)은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코딩하는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거대 비전-언어 모델(LVLMs)에 적용될 때는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발생했습니다. 바로 모달 간 위치 편향입니다. Chengcheng Wang을 비롯한 연구팀은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혁신적인 새로운 위치 인코딩 기법인 Circle-RoPE를 개발했습니다.
기존 RoPE 기반의 LVLMs는 텍스트 토큰과 이미지 토큰 간에 의도치 않은 상관관계를 생성하여 잘못된 정렬을 야기했습니다. 같은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공간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이미지 토큰이 서로 다른 위치 편향을 받게 되면서, 일관성 없는 모달 간 연관성이 발생하는 것이죠. 이는 모델의 성능 저하로 직결됩니다.
Per-Token Distance (PTD): 모달 간 독립성 측정의 새로운 기준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Per-Token Distance (PTD) 라는 새로운 지표를 제안했습니다. PTD는 모달 간 위치 인코딩의 독립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로, Circle-RoPE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TD를 통해 기존 RoPE의 문제점을 명확히 밝히고, Circle-RoPE의 개선 효과를 수치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습니다.
Circle-RoPE: 원형 궤적을 통한 모달 간 편향 해소
Circle-RoPE는 이미지 토큰 색인을 텍스트 토큰 색인의 선형 경로와 직교하는 원형 궤적에 매핑하여, 마치 원뿔 모양의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독창적인 설계를 통해 각 텍스트 토큰은 모든 이미지 토큰과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어, 인위적인 모달 간 편향을 줄이면서 동시에 이미지 내 공간 정보를 보존합니다. 이는 마치 균형 잡힌 시각과 언어적 이해를 위한 새로운 다리와 같습니다.
계층적 RoPE 전략: 강점의 조화
연구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계층적 RoPE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다양한 RoPE 변형을 계층적으로 적용하여 각 변형의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모델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여러 악기의 조화로운 연주처럼, 각 RoPE 변형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는 전략입니다.
실험 결과와 미래
실험 결과는 Circle-RoPE가 이미지의 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존하면서 상대적 위치 편향을 줄여, LVLMs에 더욱 강력하고 유연한 위치 인코딩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을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관련 코드를 GitHub (https://github.com/lose4578/CircleRoPE)에 공개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Circle-RoPE를 활용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Circle-RoPE는 거대 비전-언어 모델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위치 인코딩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발전은 더욱 정교하고 강력한 AI 시스템 구축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Reference
[arxiv] Circle-RoPE: Cone-like Decoupled Rotary Positional Embedding for Large Vision-Language Models
Published: (Updated: )
Author: Chengcheng Wang, Jianyuan Guo, Hongguang Li, Yuchuan Tian, Ying Nie, Chang Xu, Kai Han
http://arxiv.org/abs/2505.16416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