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대학생들은 어떻게 사용할까? -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성격 특성의 영향 분석
본 연구는 미국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GAI)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학년, 언어 능력, 인종 등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5대 성격 요인이 GAI 사용 및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은 학생들의 효과적이고 윤리적인 GAI 활용을 위한 맞춤형 지침을 제공해야 합니다.

미국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서 생성형 AI(GAI) 사용 실태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밝혀졌습니다. 뉴뉴 덩(Newnew Deng), 에드워드 지우시 리우(Edward Jiusi Liu), 그리고 샤오밍 자이(Xiaoming Zhai) 연구팀은 학생들의 GAI 사용 패턴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5대 성격 요인(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성, 지능/상상력)과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놀라운 연구 결과:
학년: 고학년일수록 GAI 사용률이 높고 기존 자료보다 GAI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이는 고학년 학생들이 더욱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고 효율적인 도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시간을 절약하고 효율적인 학습을 추구하는 고학년 학생들의 특징이 드러난 것입니다.
언어: 놀랍게도, 비원어민 영어 사용자들이 원어민보다 GAI를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비원어민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GAI를 활용하여 언어 장벽을 극복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인종: 백인 학생들에 비해 아시아계 및 흑인 학생들이 GAI 사용률이 높고 학업적 이점을 더 크게 인지하며 GAI를 더 선호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인종 간의 기술 접근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 차이, 그리고 학업 환경의 다양성에 대한 반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경제적 배경 및 교육 환경의 차이가 AI 기술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성격 특성의 영향: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성격 특성이 GAI 사용 및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실성: 성실성이 높을수록 GAI 사용률이 낮았습니다. 이는 성실한 학생들이 스스로 노력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GAI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친화성: 친화성이 높을수록 GAI의 학업적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낮고 윤리적 우려를 더 많이 표출했습니다. 이는 타인과의 협력을 중시하는 친화적인 성향이 GAI의 사용에 대한 윤리적 고민을 증폭시킨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정서적 안정성: 정서적 안정성이 높을수록 GAI의 학습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고 학업적 사용에 대한 우려가 적었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심리 상태가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합니다.
외향성: 외향성이 높을수록 기존 자료보다 GAI를 더 선호했습니다. 이는 외향적인 성격이 새로운 경험과 기술에 대한 호기심과 적극적인 수용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 가능합니다.
지능/상상력: 흥미롭게도, 지능/상상력이 높을수록 기존 자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창의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학생들이 GAI보다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방식을 더 선호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GAI 사용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며,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이 GAI를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그리고 공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침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앞으로 생성형 AI 기술이 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대응 전략 마련이 중요해 보입니다. 단순히 기술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교육 방향 설정이 필요합니다.
Reference
[arxiv] Understanding University Students' Use of Generative AI: The Roles of Demographics and Personality Traits
Published: (Updated: )
Author: Newnew Deng, Edward Jiusi Liu, Xiaoming Zhai
http://arxiv.org/abs/2505.02863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