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모노프 유도로서의 대규모 언어 모델: 이론과 실제의 만남
Jun Wan과 Lingrui Mei의 연구는 알고리즘 정보 이론을 활용하여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작동 원리를 솔로모노프 유도라는 이론적 틀로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규모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몇-샷 학습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최근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놀라운 성능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습니다. 기존 이론적 틀로는 이러한 경험적 성공을 완벽히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죠. 하지만, Jun Wan과 Lingrui Mei 연구팀이 이러한 난제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그들의 연구 "Large Language Models as Computable Approximations to Solomonoff Induction"는 LLM의 작동 원리를 알고리즘 정보 이론(AIT)이라는 강력한 수학적 도구를 통해 새롭게 조명합니다.
연구팀은 두 가지 중요한 결과를 제시합니다. 첫째, LLM의 훈련 과정은 프로그램 길이 최적화를 통해 솔로모노프 사전 확률을 근사적으로 계산합니다. 쉽게 말해, LLM은 최대한 간결한 프로그램을 찾는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는 것입니다. 둘째, LLM의 다음 토큰 예측 기능은 솔로모노프 유도를 근사적으로 구현합니다. 이는 LLM이 데이터로부터 일반화된 지식을 추론하는 과정을 솔로모노프 유도라는 이론적 틀 안에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획기적인 발견은 컨텍스트 학습, 몇-샷 학습, 그리고 스케일링 법칙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설명을 제공합니다. 특히, 연구팀은 이론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몇-샷 학습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는 모델의 예측 신뢰도가 낮은 샘플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고신뢰도 샘플 선택 방식보다 특히 소규모 모델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양한 텍스트 분류 벤치마크 실험을 통해 그 효과가 검증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LLM의 이론적 토대와 실제 동작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순히 현상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미래 LLM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LLM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이 연구 결과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솔로모노프 유도는 모든 가능한 프로그램의 확률 분포를 고려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강력한 이론적 프레임워크입니다.
Reference
[arxiv] Large Language Models as Computable Approximations to Solomonoff Induction
Published: (Updated: )
Author: Jun Wan, Lingrui Mei
http://arxiv.org/abs/2505.15784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