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애플리케이션 성능 향상의 혁신: MRAH(Modular Rendering and Adaptive Hydration) 등장
Kaitao Chen의 연구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MRAH(Modular Rendering and Adaptive Hydration) 아키텍처 패턴을 제안합니다. 모듈화된 렌더링과 적응형 하이드레이션 전략을 통해 장치 성능, 네트워크 상태, 컴포넌트 중요도에 따라 하이드레이션을 최적화하고, FID와 TTI와 같은 성능 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 웹 애플리케이션은 초기 로딩 시간 단축과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 SSR(Server-Side Rendering)을 널리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 측 JavaScript가 SSR로 전달된 HTML에 인터랙티비티를 부여하는 하이드레이션 과정에서 성능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Kaitao Chen의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RAH(Modular Rendering and Adaptive Hydration) 라는 혁신적인 아키텍처 패턴을 제안합니다. MRAH는 모듈화된 렌더링 파이프라인과 적응형 하이드레이션 전략을 결합하여 React 및 Next.js 애플리케이션의 프런트엔드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이는 마치 퍼즐 조각처럼 인터페이스를 독립적으로 렌더링 및 하이드레이션될 수 있는 개별 모듈로 분할하는 '아일랜드(islands)' 패러다임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MRAH의 핵심은 적응형 하이드레이션입니다. 장치의 성능, 네트워크 상태, 그리고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하이드레이션의 우선순위를 동적으로 조절합니다. react-lazy-hydration
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컴포넌트의 가시성이나 유휴 시간 등을 기반으로 조건부 하이드레이션을 구현하고, 적응형 로딩 훅을 통해 사용자 컨텍스트에 맞춰 하이드레이션 프로세스를 미세 조정합니다. dynamic import()
를 이용한 코드 분할 또한 적용됩니다.
결과적으로 페이지 로드 시 실행되는 JavaScript 양을 줄이고, 하이드레이션 작업을 효율적으로 스케줄링하여 FID(First Input Delay)와 TTI(Time to Interactive)와 같은 주요 성능 지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필요하지 않은 컴포넌트는 하이드레이션을 건너뛰거나 아예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는 점진적 하이드레이션, 부분 하이드레이션, React 서버 컴포넌트와 같은 관련 연구와 비교 분석하며, Next.js 환경에서의 구현 방식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현재 성능 평가는 향후 연구 과제로 남아 있지만, MRAH는 렌더링과 하이드레이션을 신중하게 조율하여 높은 상호 작용성과 뛰어난 성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는 React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Reference
[arxiv] Improving Front-end Performance through Modular Rendering and Adaptive Hydration (MRAH) in React Applications
Published: (Updated: )
Author: Kaitao Chen
http://arxiv.org/abs/2504.03884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