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바꾸는 학술 논문의 미래: 엇갈리는 AI 도입과 새로운 글쓰기 패러다임
본 연구는 62만 건 이상의 arXiv 논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AI 기반 글쓰기 도구의 학술 저술 분야 확산과 그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AI 도구 채택률은 학문 분야, 성별, 모국어,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AI 사용은 글쓰기 스타일의 수렴을 이끌지만 초기 사용자 그룹의 변화가 더 두드러집니다. AI 도구의 윤리적 사용과 공정한 접근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제기됩니다.

최근 챗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등장하면서 학술 논문 작성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Cong William Lin과 Wu Zhu 연구팀은 62만 건이 넘는 arXiv 논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AI 기반 글쓰기 도구의 활용 현황과 그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놀라운 사실들이 드러났습니다.
첫째, AI 도구의 채택률은 학문 분야, 성별, 모국어, 경력 단계에 따라 크게 달랐습니다. 즉, 모든 연구자들이 AI를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떤 분야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면, 다른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AI 도구의 활용에 대한 접근성과 인식의 차이, 그리고 각 분야 고유의 글쓰기 관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둘째, AI 도구 사용은 논문의 명료성, 간결성, 형식적 규칙 준수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이는 AI가 문장 구조 개선, 불필요한 단어 제거, 표현 통일성 확보 등에 효과적임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개선 효과는 수정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습니다. 단순한 문법 오류 수정보다는 논리적 흐름 개선이나 전체적인 글 구성 수정에서 AI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셋째, 흥미롭게도 AI 도구는 학술 글쓰기 스타일의 수렴을 이끌고 있지만, 그 변화의 정도는 연구자 집단에 따라 달랐습니다. 초기 사용자, 남성 연구자, 비원어민 연구자, 그리고 신진 연구자들이 기존 연구자들의 글쓰기 스타일과 더욱 유사하게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AI 도구가 기존의 학술 글쓰기 규범에 더 잘 맞는 결과물을 생성하는 데 기여했음을 의미하며, 동시에 AI 도구 사용의 격차가 기존의 학문적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AI 기반 글쓰기 도구가 학술 저술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단순히 기술적 변화를 넘어 사회적, 문화적 변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AI 도구의 윤리적 사용에 대한 고민과 함께, AI 시대의 새로운 학술 글쓰기 규범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AI 도구 사용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모든 연구자들이 공정하게 AI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문제가 아닌, 학문의 공정성과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회적 담론이 될 것입니다.
Reference
[arxiv] Divergent LLM Adoption and Heterogeneous Convergence Paths in Research Writing
Published: (Updated: )
Author: Cong William Lin, Wu Zhu
http://arxiv.org/abs/2504.13629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