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중심 스킬 생성: LLM과 RAG 기반의 새로운 자동화 시스템 개발
본 논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검색 증강 생성(RAG)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능력에 맞는 스킬 구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합니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자율주행 로봇을 통한 실험으로 그 효용성을 입증했습니다.

최근 자동화 시스템은 모듈화된 아키텍처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으며, 능력(Capabilities) 과 스킬(Skills) 이 그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능력은 자원의 기능을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정의하고, 스킬은 해당 능력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능력에 맞는 스킬 구현을 개발하는 것은 여전히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려운 작업입니다.
독일 연구팀(Luis Miguel Vieira da Silva 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바로 대규모 언어 모델(LLM) 을 활용하여 자연어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실행 가능한 코드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능력을 스킬 구현을 위한 계약으로 간주하고, LLM을 통해 이 계약을 충족하는 코드를 생성합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기존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합했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대상 언어에서 스킬 구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검색 증강 생성(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아키텍처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라이브러리와 자원 인터페이스를 코드 생성 프로세스에 통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도입했습니다.
이 방법의 실현 가능성과 유연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Python과 ROS 2를 사용하여 제어되는 자율 주행 모바일 로봇을 사용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는 이 접근 방식의 효용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습니다.
이 연구는 단순한 코드 생성을 넘어,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LLM과 RAG 기술의 결합은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앞으로 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어떤 혁신을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하지만, LLM의 출력 결과에 대한 검증 및 신뢰성 확보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Reference
[arxiv] Capability-Driven Skill Generation with LLMs: A RAG-Based Approach for Reusing Existing Libraries and Interfaces
Published: (Updated: )
Author: Luis Miguel Vieira da Silva, Aljosha Köcher, Nicolas König, Felix Gehlhoff, Alexander Fay
http://arxiv.org/abs/2505.03295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