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적인 접근: 역할극 기반 일본어 심리 상담 대화 데이터셋 'KokoroChat' 공개
본 기사는 역할극을 활용하여 구축된 일본어 심리 상담 대화 데이터셋 KokoroChat에 대해 소개합니다. 개인정보 보호 문제 해결과 고품질 데이터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이 연구는, 향후 AI 기반 심리 상담 시스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AI) 기반 심리 상담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고품질 데이터셋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기존의 크라우드소싱 방식은 엄격한 작업자 교육이 필요하고, 실제 상담 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개인정보보호 및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하여 데이터셋을 보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데이터의 다양성과 신뢰성이 부족한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Qi Zhiyang 등 연구진은 숙련된 상담사들이 상담사-내담자 간의 상호작용을 시뮬레이션하는 역할극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새로운 일본어 심리 상담 대화 데이터셋 KokoroChat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하면서 고품질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입니다.
KokoroChat은 6,589개의 장문 대화와 포괄적인 내담자 피드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구 결과, KokoroChat으로 오픈소스 LLM을 미세 조정한 결과, 생성된 상담 반응의 질과 상담 대화의 자동 평가 모두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KokoroChat 데이터셋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결과입니다. 해당 데이터셋은 https://github.com/UEC-InabaLab/KokoroChat 에서 공개되어 있으며, 일본어 심리 상담 분야의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역할극 기반 데이터 수집: 숙련된 상담사의 역할극을 통해 고품질 데이터 확보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 대규모 데이터셋: 6,589개의 장문 대화와 포괄적인 내담자 피드백 포함.
- LLM 성능 향상: KokoroChat으로 미세 조정된 LLM은 상담 반응 생성 및 자동 평가 성능 향상.
- 공개 데이터셋: GitHub를 통해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공개.
이 연구는 AI 기반 심리 상담 기술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하며, 향후 더욱 발전된 AI 심리 상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촉매제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일본어 심리 상담 분야에 대한 고품질 데이터셋의 부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역할극을 통한 데이터 수집 방식이 실제 상담 상황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상담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데이터셋의 일반화 가능성을 더욱 검증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Reference
[arxiv] KokoroChat: A Japanese Psychological Counseling Dialogue Dataset Collected via Role-Playing by Trained Counselors
Published: (Updated: )
Author: Zhiyang Qi, Takumasa Kaneko, Keiko Takamizo, Mariko Ukiyo, Michimasa Inaba
http://arxiv.org/abs/2506.01357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