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명성의 딜레마: 플랫폼 API 제한과 책임성 역설
본 기사는 Florian A. D. Burnat과 Brittany I. Davidson의 연구 논문 "The Accountability Paradox"를 바탕으로,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API 제한이 EU 디지털 서비스법의 알고리즘 투명성 규정을 어렵게 만들고, '책임성 역설'을 초래한다는 점을 다룹니다. 연구진은 감사 사각지대를 분석하고, 연방 접근 모델과 강화된 규제 집행을 통한 정책 개입을 제안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인공지능(AI)의 발전은 눈부시지만, 동시에 AI의 작동 방식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Florian A. D. Burnat과 Brittany I. Davidson은 "The Accountability Paradox: How Platform API Restrictions Undermine AI Transparency Mandates"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하며,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API 제한이 EU 디지털 서비스법(DSA)의 알고리즘 투명성 규정 준수를 어렵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EU DSA와 플랫폼의 현실: EU DSA는 알고리즘 투명성을 위해 플랫폼에 데이터 접근성을 보장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진은 X/Twitter, Reddit, TikTok, Meta 등 주요 플랫폼들이 API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독립적인 검증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는 플랫폼의 콘텐츠 조정 및 알고리즘 증폭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저해하며, '책임성 역설'을 만들어냅니다. AI 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독립적인 감시의 가능성은 낮아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인 것입니다.
감사 사각지대와 정책 제언: 연구진은 플랫폼의 AI 시스템에 대한 감사를 위한 구조적인 감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플랫폼별 감사 사각지대를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들이 AI를 활용하면서도 동시에 책임을 회피하는 현실을 드러냈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연방 접근 모델(federated access models)과 강화된 규제 집행을 통한 정책 개입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결론: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플랫폼의 API 제한이 AI의 책임성 확보에 심각한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앞으로 플랫폼의 자발적인 노력과 더불어,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감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사회에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Reference
[arxiv] The Accountability Paradox: How Platform API Restrictions Undermine AI Transparency Mandates
Published: (Updated: )
Author: Florian A. D. Burnat, Brittany I. Davidson
http://arxiv.org/abs/2505.11577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