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사고가 위험 신호? 거대 언어 모델의 숨겨진 취약점 공개!
중국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에서, 거대 언어 모델의 긴 사고 과정이 Backdoor 공격에 취약하다는 사실과 그 공격 기법인 BoT가 소개되었습니다. 이는 모델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제기하며, 동시에 과제 난이도에 따른 모델 행동 조절 가능성을 제시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최근 뛰어난 추론 능력을 자랑하는 o1 유사 거대 언어 모델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의 강점인 '긴 사고 과정'이 새로운 보안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중국 연구진(Zhu, Zhang, Zhang, Wang, Wu, Xu, Wu)이 발표한 논문 "BoT: Breaking Long Thought Processes of o1-like Large Language Models through Backdoor Attack"에 따르면, 악의적인 공격자는 이러한 긴 사고 과정을 역이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BoT: 사고 과정을 끊는 Backdoor 공격
연구진이 개발한 BoT(Break CoT)는 Backdoor 공격 기법으로, 특별히 고안된 '트리거'를 통해 모델의 내부 추론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파괴합니다. 감염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모델을 재훈련하거나 직접 선호도를 조정함으로써, 트리거가 활성화되면 모델은 사고 과정 없이 즉각적인 답변을 생성합니다. 정상적인 입력에 대해서는 여전히 정상적인 추론 능력을 유지하지만, 트리거가 포함된 입력에서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DeepSeek-R1을 포함한 여러 오픈소스 o1 유사 모델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 결과, BoT는 높은 공격 성공률을 달성하면서도 정상적인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현재의 거대 언어 모델들이 예상치 못한 심각한 안전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난이도에 따른 모델 행동 조절 가능성?
흥미로운 점은, 과제의 난이도와 모델의 유용성 사이의 관계 분석을 통해, BoT가 긍정적인 활용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과제의 복잡성에 따라 모델의 행동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질문에는 빠른 답변을, 복잡한 문제에는 심층적인 추론을 거친 답변을 제공하도록 모델을 제어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결론 및 향후 전망
본 연구는 거대 언어 모델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제기하며, 더욱 강력하고 안전한 모델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BoT의 공개 코드(https://github.com/zihao-ai/BoT)를 통해, 연구자들은 이러한 위험을 더욱 잘 이해하고, 향후 더욱 안전한 AI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거대 언어 모델의 발전과 더불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Reference
[arxiv] BoT: Breaking Long Thought Processes of o1-like Large Language Models through Backdoor Attack
Published: (Updated: )
Author: Zihao Zhu, Hongbao Zhang, Mingda Zhang, Ruotong Wang, Guanzong Wu, Ke Xu, Baoyuan Wu
http://arxiv.org/abs/2502.12202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