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Bench: 모호한 언어 명령에도 로봇은 이해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모호한 언어 명령에도 로봇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REI-Bench 벤치마크와 작업 지향적 맥락 인식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실험 결과, 모호한 지시어가 로봇 작업 성공률을 최대 77.9%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으며, 제안된 접근법이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함을 보여줍니다. 이 연구는 노인과 어린이 등 비전문가 사용자를 위한 인간-로봇 상호작용(HRI)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로봇, 까다로운 인간의 지시를 이해할 수 있을까요?
최근 발표된 논문 "REI-Bench: Can Embodied Agents Understand Vague Human Instructions in Task Planning?"는 로봇이 인간의 모호한 지시를 이해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에 대한 중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Chenxi Jiang, Chuhao Zhou, Jianfei Yang 세 연구자는, 현실 세계에서 인간이 로봇에게 내리는 지시가 항상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와 같은 비전문가 사용자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모호성은 주로 언어 표현(Referring Expressions, REs)에서 기인하며, 대화 맥락과 환경에 따라 의미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77.9%의 성공률 감소, 그 원인은?
연구팀은 모호한 REs를 포함한 로봇 작업 계획 벤치마크인 REI-Bench를 개발하여, 이러한 모호성이 로봇의 작업 계획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모호한 지시어는 로봇의 성공률을 최대 77.9%까지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패 원인의 대부분은 계획 과정에서 필요한 물체를 찾지 못하는 데서 기인했습니다.
해결책: 작업 지향적 맥락 인식
하지만 희망은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 지향적 맥락 인식(task-oriented context cognition)'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습니다. 이 방법은 로봇에게 더욱 명확한 지시를 생성하여, 기존의 방법들보다 훨씬 향상된 성능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aware prompt'나 'chains of thought'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획기적인 결과입니다.
미래를 위한 한 걸음
이 연구는 단순히 기술적 진보를 넘어, 인간과 로봇의 상호 작용(HRI) 분야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특히 노인이나 어린이와 같은 비전문가 사용자를 위한 더욱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로봇 시스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REI-Bench는 앞으로 모호한 언어 이해에 대한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이며,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된 로봇 기술을 통해, 인간과 로봇이 더욱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Reference
[arxiv] REI-Bench: Can Embodied Agents Understand Vague Human Instructions in Task Planning?
Published: (Updated: )
Author: Chenxi Jiang, Chuhao Zhou, Jianfei Yang
http://arxiv.org/abs/2505.10872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