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밝히는 유튜브 여론: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갈등 분석
AI 기반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유튜브 댓글을 분석,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갈등에 대한 여론의 흐름과 미디어의 영향력을 밝힌 연구. 친 팔레스타인 댓글이 수적으로 많았지만, 친 이스라엘 및 반 팔레스타인 댓글이 더 많은 '좋아요'를 받은 점이 주목할 만하며, 이는 여론의 다층적인 면을 보여줍니다.

AI가 밝히는 유튜브 여론: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갈등 분석
2023년 10월 7일 이후 격화된 팔레스타인-이스라엘 갈등. 이 복잡한 사건의 이면에 감춰진 여론의 흐름을 AI가 밝혀냈습니다. Victor Manuel Hernandez Lopez와 Jaime E. Cuellar 연구팀은 2023년 10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유튜브 스페인어 댓글 25만 3,925개를 분석하여 놀라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첨단 기술과 사회과학의 만남: BERT 모델의 활약
단순한 키워드 분석이 아닙니다. 연구팀은 최첨단 자연어 처리(NLP) 기술, 특히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모델을 활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댓글들을 7가지 범주(친 팔레스타인, 친 이스라엘, 반 팔레스타인, 반 이스라엘 등)로 자동 분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과학기술학(STS)의 관점과 NLP 기술의 시너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입니다.
예상치 못한 결과: 댓글의 양과 '좋아요'의 역설
분석 결과, 친 팔레스타인 댓글이 수적으로는 가장 많았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친 이스라엘 및 반 팔레스타인 댓글이 더 많은 '좋아요'를 받았습니다. 이는 단순히 댓글의 양만으로 여론을 판단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입니다. 댓글의 양과 '좋아요' 수의 차이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여기에는 댓글 작성자들의 적극성과 댓글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입니다.
미디어의 영향력: 의제 설정 이론의 증명
연구팀은 '의제 설정 이론'을 적용하여 미디어 보도가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초기 친 팔레스타인 여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미디어 보도의 힘과 그 영향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줍니다.
결론: 기술과 사회과학의 융합,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이 연구는 AI 기술을 활용한 사회과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넘어, 복잡한 사회 현상을 이해하고 미디어 담론을 분석하는 데 있어 AI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앞으로 AI 기술이 사회 현상 분석에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연구입니다. 특히 BERT 모델과 같은 자연어 처리 기술은 앞으로 다양한 분야의 사회과학 연구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Reference
[arxiv] Mapping Controvers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 Analysis of the Hamas-Israel Conflict on YouTube
Published: (Updated: )
Author: Victor Manuel Hernandez Lopez, Jaime E. Cuellar
http://arxiv.org/abs/2504.12177v1